반응형 Source2 [FastAPI] 1. 시작하기 1. 가상환경 설정 익숙한 pip으로 가상환경을 설정해줘도 상관없지만, 사용해보지 않은 virtualenv를 활용해보려고 한다. 1.1. virtualenv를 사용한 개발 환경 구축 #-- fastapi라는 폴더를 만들고 이 폴더 안에 가상환경을 생성 $ mkdir fastapi && cd fastapi $ python3 -m venv fastapi_env venv 모듈은 가상 환경을 설치할 폴더명을 인수로 지정 > 두번째 인수인 fastapi는 가상환경으로 사용할 폴더명이다. > 생성된 가상 환경 폴더 (fastapi)에는 파이썬 인터프리터가 설치된 lib 폴더와 가상 환경 내에서 상호작용 (가상 환경 활성화 / 비활성화 등)이 필요한 파일을 저장하는 bin 폴더가 있다. 1.2. 가상환경 활성화 / .. 2023. 7. 14. VSCODE에서 Shell script 실행 방법 vscode에서 shell 파일을 실행하는 방법을 정리하려고 한다. shell script ? 터미널에서 명령어를 나열해서 실행시키는 것과 동일한 방식이다. Shell 에게 실행할 명령을 알려주는 스크립트 파일이라고 생각하면 쉽다. Shell script는 기본적으로 .sh 확장자로 작성한다. vscode에서 shell script를 생성하고 실행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vscode에서 확장(Extension)을 클릭한다. code runner을 검색 후에 설치 버튼을 누른다. 설치가 완료되면, 오른쪽 상단에 실행 버튼을 누르면 실행이 된다. (실행 단축키 : CTRL + ALT + N) shell script 가상환경 설정 .sh 파일에서 가상환경을 활성화 하려고 하는 명령어 위에 아래 코드를 적어준.. 2023. 1. 1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