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etting/linux3 [nvitop] GPU모니터링 용어 정리 nvitop 또는 nvidia-smi 명령어를 사용해서 현재 장착된 GPU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nvitop 설치 및 사용 $ pip install nvitop $ nvitop nvidia-smi 설치 및 사용 리눅스에 nvidia driver를 설치하면 nvidia-smi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 $ nvidia-smi 1 . GPU 현재 설치되어 있는 gpu 번호 0번부터 시작 2 . Name 사용하고 있는 GPU의 모델명 3 . Driver Version 현재 사용하고 있는 nvidia GPU의 driver version 4 . CUDA Version 현재 사용하고 있는 드라이버와 호환이 잘 되는 cuda 버전 주의할 점, 현재 설치된 cuda 버전이 아님! 5 . Persistence-M.. 2024. 1. 29. [ 리눅스 ] 현재 실행중인 port 확인하는 방법 Netstat 사용 Netstat : Linux 네트워킹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데 사용되는 도구 현재 열려있는 모든 Port를 확인할 수 있다. -l 옵션 : netstat에 모든 수신 소켓을 표시한다. -t 옵션 : 모든 TCP 연결을 표시한다. -u 옵션 : 모든 UDP 연결을 표시한다. -p 옵션 : 포트에서 수신하는 어플리케이션/데몬의 이름을 표시한다. -n 옵션 : 서비스 이름 대신 port 번호를 표시한다. $ sudo netstat -ltup 2023. 12. 14. [ conda ] conda 채널 추가 회사 리눅스 서버에서 python 3.9.10 버전으로 conda 환경을 만들어 개발을 진행하려고 했는데 .... 설치 에러가 발생했다.! python 3.9.10 버전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conda 채널을 추가해주면 되는데 해결한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conda config --append channels conda-forge 해결은 했지만, conda-forge가 어떤것인지 몰라서 좀 더 찾아보았다. 1. conda ? conda는 패키지 관리나 가상환경 관리를 할때 사용한다. pip 보다 안정적이고 편리한 패키지 관리, 가상환경을 지원한다. 많은 곳에서는 pip 보다는 conda를 사용하고, anaconda 보다는 miniconda를 많이 사용한다고 한다. 2. conda에서 channel이란? .. 2023. 8. 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