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Algorithm

[코테 챌린지] 7일차. 덩치

by _YUJIN_ 2024. 8. 11.
우리는 사람의 덩치를 키와 몸무게, 이 두 개의 값으로 표현하여 그 등수를 매겨보려고 한다.
어떤 사람의 몸무게가 x kg이고 키가 y cm라면 이 사람의 덩치는 (x, y)로 표시된다.
두 사람 A 와 B의 덩치가 각각 (x, y), (p, q)라고 할 때 x > p 그리고 y > q 이라면 우리는 A의 덩치가 B의 덩치보다 "더 크다"고 말한다.
예를 들어 어떤 A, B 두 사람의 덩치가 각각 (56, 177), (45, 165) 라고 한다면 A의 덩치가 B보다 큰 셈이 된다. 그런데 서로 다른 덩치끼리 크기를 정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두 사람 C와 D의 덩치가 각각 (45, 181), (55, 173)이라면 몸무게는 D가 C보다 더 무겁고, 키는 C가 더 크므로, "덩치"로만 볼 때 C와 D는 누구도 상대방보다 더 크다고 말할 수 없다.
N명의 집단에서 각 사람의 덩치 등수는 자신보다 더 "큰 덩치"의 사람의 수로 정해진다.
만일 자신보다 더 큰 덩치의 사람이 k명이라면 그 사람의 덩치 등수는 k+1이 된다.
이렇게 등수를 결정하면 같은 덩치 등수를 가진 사람은 여러 명도 가능하다. 

2 ≤ N ≤ 50
10 ≤ x, y ≤ 200

📌 문제 탐색하기 

우리가 문제를 이해해가는 과정을 작성하시면 됩니다.
- 문제에서 구해야 하는 최종 정답은 무엇인지 탐색한 과정
- 그 정답을 구하기 위해 어떻게 코드를 구현해야 할지 고민한 과정
- 문제에 들어오는 범위를 파악하며 어떤 알고리즘을 쓸 수 있을지 고민해 가는 과정 등을 작성해주시면 됩니다.

알고리즘 선택

  • 입력의 크기(N)은 최대 50이기 때문에 O(N^2) 복잡도를 가지는 브루트 포스 접근법을 사용해도 괜찮다고 판단했음
  • 각 사람을 다른 사람들과 비교하여 덩치가 큰 사람의 수를 세는 방식으로, 브루트 포스 접근법으로 했을 때 가장 직관적이고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음. (입력의 크기 제한이 작기 때문에 굳이 복잡한 알고리즘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했음)

📌코드 설계하기 

위의 문제 탐색하기에서 고민한 과정을 토대로 문제 풀이에 대한 실마리를 잡으셨을 것 같습니다.
이제 문제 풀이를 본격적으로 하기 전, 이 문제를 풀기 위한 로드맵을 그려보겠습니다.
어떤 순서로 코드를 작성해야 할지, 어떤 함수들을 작성해야 할지 등을 작성해주시면 됩니다.
처음에는 어려울 수 있지만, 문제를 풀기 전 미리 지도를 그린다라는 생각으로 적어나가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1. 각 사람을 (몸무게, 키) 쌍으로 저장합니다.
  2. 각 사람마다 모든 다른 사람들과 덩치 크기를 비교합니다.
  3. 만약 자신보다 큰 덩치의 사람이 있으면 등수를 증가시킵니다.
  4. 비교를 모두 마친 후 각 사람의 등수를 출력합니다.

📌 시도 회차 수정 사항 (Optional)

- 무문별하게 “맞았습니다”가 나올때 까지 수정하는 형태의 문제 풀이를 반복하면 , 내가 어떤 실수를 해서 해당 문제를 틀렸는지 모르게 됩니다.
- 틀렸습니다를 받았다면 왜 틀렸는지 고민해보고 , 어떻게 수정할 수 있는지 고민하는 과정을 작성해주시면 됩니다.
- 위에 내가 세울 설계에서 어떤 부분이 틀렸는지도 함께 점검해보세요
- 한번에 맞출수도 있기 때문에 이 칸은 Optional입니다.

📌정답 코드

# 사람 수 입력 받기
n = int(input())

# 각 사람의 (몸무게, 키) 쌍을 리스트에 저장
people = []
for _ in range(n):
    weight, height = map(int, input().split())
    people.append((weight, height))

# 각 사람의 등수를 계산
ranks = []
for i in range(n):
    rank = 1
    for j in range(n):
        if i != j:
            if people[i][0] < people[j][0] and people[i][1] < people[j][1]:
                rank += 1
    ranks.append(rank)

# 결과 출력
for rank in ranks:
    print(rank, end=' ')
반응형